오늘은 배열의 기초에 대해서 배웠다.
let arr = [1, 2, 3, 4, 5, 6, 1, 2];
- index : 배열의 순서. 0부터 시작하게 된다. 즉, arr의 0번째 인덱스의 값은 1이 되는 것이다.
- element: 배열의 값을 의미한다. 즉, arr의 2번째인덱스의 element는 3이 되는 것이다.
- length: 인덱스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arrd의 length는 8이 되게 된다.
- push: arr.push(추가할 element) 형식. 배열의 맨 마지막순서에 element를 추가하는 명령어.
- 만약에 push나 unshift 이외의 방식으로 배열에 값을 넣고 싶다면, arr[i] = value; 로 원하는 위치에 값을 넣을수 있다.
- pop: arr.pop() 형식. 배열의 맨마지막 엘리먼트와 인덱스를 삭제하는 명령어.
- arr[]: arr[인덱스넘버] 형식. 배열의 n번째 인덱스의 값을 불러오는 명령어.
- shift: arr.shift() 형식. 배열 가장 처음의 값을 제거하는 명령어.
- unshift: arr.unshift(추가할 element) 형식. 배열의 가장 첫부분에 element를 추가하는 명령어.
- slice: arr.slice(start, end) 형식. 배열의 start번째 인덱스부터 end번째 까지 보여주는 명령어. (원본배열에 영향주지 않음). arr.slice(n) 형식. => n개를 뺀 나머지만 보여주라는 명령어.
- splice: arr.splice(start, deleteCount, 배열에 추가할요소) 형식. **(원본자체를 바꿈)** 만약 추가요소를 적지 않을시, 삭제만 한다. ex)arr.splice(0,2, 'apple'); arr = ['apple', 3, 4, 5, 6, 1, 2]가 되게 된다.
- join: arr.join(seperator) 형식 배열을 문자열로 바꾸는 명령어. 빈문자열('')을 seperator로 쓸 경우 ','없이 배열이 쭉 이어진 스트링 이 된다.
- split: str.split('seperator')형식. 문자열을 배열로 바꿀수가 있다. 이때 seperator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전체문자열을 배열로 리턴
- Array.isArray: Array.isArray(판단하고 싶은 객체) 형식. 해당 객체가 배열인지 아닌지 boolean값으로 리턴
- indexOf: arr.indexOf(searchElement)형식. 해당 searchElement가 해당 배열에 있는지 없는지 리턴. 만약에 없다면 -1, 있다면 해당 element가 속한 index값을 리턴. ex) arr.indexOf(7) !== -1; 로 하면 7이 포함이 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false리턴.
- includes: arr.includes(searchElement) 형식. 해당 searchElement가 배열에 있는지 없는지 boolean값으로 리턴.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in 과 for...of (0) | 2021.04.19 |
---|---|
객체의 기초 (0) | 2021.04.18 |
자바스크립트 기본 논리적 구조만들기(feat.계산기) (0) | 2021.04.15 |
다중 조건문 if(자바스크립트, js) (0) | 2021.04.15 |
계산기만들기 프로젝트(js) 화면에 숫자를 이어서 나오게 하기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