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Linux

Linux 기본명령어

MarkLEE 2021. 4. 15. 10:32

리눅스의 명령어는 영어단어의 축약형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기억이 용이하도록 각각의 명령어의 Letter가 어떤 단어를 Stands for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기본 명령어>

pwd(Place Working Directory)

cd(Change Directory)

mkdir(Making Directory)

ls(List)

open(Open)

touch(Touch)

cat(Concatenate) : 전체 내용을 읽음. 

rm(Remove)

mv(Move)

cp(Copy) : (cp 원본파일이름 복사하여만들 파일이름) 형식으로 실행.

ls - l(list -Lists)

 

/(루트 디렉토리) : 말그대로 가장 아래. Root. 

~(홈디렉토리) : 사용자 홈.

 

 

. : 현재 디렉토리

.. : 상위 디렉토리

 

 

 

<learn more by myself>

1) ls -l 을 통해 파일타입과 부여된 권한 확인하기

ls -l을 사용시 나오는 리스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글자들의 나열을 볼 수 있다. 

drwxrwxr--

 

첫글자는 해당 파일의 타입을 보여준다.

d = directory

l= link

-= general file. 이다. 

 

그 뒤의 rwx/rwx/r--는

 

각각 reading writing executing 할 권한을 의미하며, 

첫번째 부분은 소유하고 있는 유저가 가지는 권한

두번째 부분은 그룹부분.

세번째 부분은 소유하고 있지 않는 다른 유저가 가지는 권한을 의미한다. 

 

 

2) 명령어 -r 와 -f의 의미와 사용

명령어 -r-f

명령어 -r 은 recursive를 뜻하고, 

명령어 -f는 -force를 나타낸다. 

 

즉 -r은 반복적으로(recursive) 앞의 명령어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

-f는 강제로(forced)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폴더안에 여러개의 파일이 있는 경우를 상정하자.

 

이경우, 단순히 rm 폴더명을 하게 되면, 

폴더는 삭제되지 않고, 

rm : 폴더명: is a directory라는 안내를 받게 된다. 

 

이는 폴더 안에 여러 파일이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삭제’라는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안에 파일이 있는 폴더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rm -r 폴더명 으로 적어주어야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f를 사용하게 되면, 보이지 않는 파일도 삭제가 가능하며,

 

이 두가지를 합쳐서 

-rf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단, 이렇게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라지니 주의하여야 한다. 

 

 

 

3) 명령어 cat사용의 문제점과 파일을 읽을 수 있는 다른 명령어들

cat의 문제점.

cat을 사용하게 되면, 전체내용을 읽게 되므로, 매우 큰 파일의 경우 짤리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는 본인의 영어공부를 위해 영어로 임의로 작성하였으므로 문법상 오류가 있더라도 양해를 부탁한다.)

 

    (1)head

It shows the first 10 lines of the file as default.

you can change how much lines you want to show. by type ‘ head -20 filename’

 

    2)tail 

It shows the last 10 lines of the file as default.

you can change how much lines you want to show. by type ‘ head -20 filename’

 

    3)more

It reads the file and shows it to screen on a screen basis.

 

    4)less

It reads the file and shows it to screen . 

In the case of ‘more’, you can’t check the context passed already, otherwise in the case of ‘less’, it shows just amount of text that you can see at once. So it is comfortable when you read big-size file.